h2 디비 설치하고 호기심에 이것저것 눌러봤다가 설정정보가 아예 날라가서 복구하느라 힘들었다.
미래의 나를 위해, 또 다른 호기심 천국인 누군가에게 참고되길 바라며 기록한다.
환경은 mac북 기준으로 작성하며 윈도우용은 다른 블로거들이 간간히 써둔 글이 있어서
해당 글을 참고해보면 될것같다.
처음 h2를 설치하고 나타나는 화면인데 여기에서 '삭제' 버튼을 누르면 아주 곤혹스러워진다
익숙한 Generic H2(Embedded)라는 설정항목이 사라지고 그 다음 리스트에 있는 것들만 자꾸 나타난다
h2 폴더를 삭제하고 다시 zip파일을 풀어보아도 똑같았고 test.mv.db 파일을 삭제해도 동일했다.
열심히 찾아본 결과 test.mv.db 파일이 있는 경로에 동일하게 .h2.server.properties 라는 파일이 존재하였다
숨겨져있어서 찾기가 어려웠다.
경로를 몰라서 cd ~로 이동 후
sudo find . -name "*h2.server.properties*" 로 전체 검색을 해서 발견하였다.
vim ./.h2.server.properties 하여 해당 파일을 열고 수정해주면 된다.
#H2 Server Properties
#Wed May 31 00:53:20 KST 2023
webSSL=false
webAllowOthers=false
webPort=8082
10=Generic DB2|com.ibm.db2.jcc.DB2Driver|jdbc\:db2\://localhost/test|
11=Generic Oracle|oracle.jdbc.driver.OracleDriver|jdbc\:oracle\:thin\:@localhost\:1521\:XE|sa
12=Generic MS SQL Server 2000|com.microsoft.jdbc.sqlserver.SQLServerDriver|jdbc\:microsoft\:sqlserver\://localhost\:1433;DatabaseName\=sqlexpress|sa
13=Generic MS SQL Server 2005|com.microsoft.sqlserver.jdbc.SQLServerDriver|jdbc\:sqlserver\://localhost;DatabaseName\=test|sa
14=Generic PostgreSQL|org.postgresql.Driver|jdbc\:postgresql\:test|
15=Generic MySQL|com.mysql.jdbc.Driver|jdbc\:mysql\://localhost\:3306/test|
16=Generic HSQLDB|org.hsqldb.jdbcDriver|jdbc\:hsqldb\:test;hsqldb.default_table_type\=cached|sa
17=Generic Derby (Server)|org.apache.derby.jdbc.ClientDriver|jdbc\:derby\://localhost\:1527/test;create\=true|sa
18=Generic Derby (Embedded)|org.apache.derby.jdbc.EmbeddedDriver|jdbc\:derby\:test;create\=true|sa
19=Generic H2 (Embedded)|org.h2.Driver|jdbc\:h2\:~/test|sa
0=Generic JNDI Data Source|javax.naming.InitialContext|java\:comp/env/jdbc/Test|sa
1=Generic Teradata|com.teradata.jdbc.TeraDriver|jdbc\:teradata\://whomooz/|
2=Generic Snowflake|com.snowflake.client.jdbc.SnowflakeDriver|jdbc\:snowflake\://accountName.snowflakecomputing.com|
3=Generic Redshift|com.amazon.redshift.jdbc42.Driver|jdbc\:redshift\://endpoint\:5439/database|
4=Generic Impala|org.cloudera.impala.jdbc41.Driver|jdbc\:impala\://clustername\:21050/default|
5=Generic Hive 2|org.apache.hive.jdbc.HiveDriver|jdbc\:hive2\://clustername\:10000/default|
6=Generic Hive|org.apache.hadoop.hive.jdbc.HiveDriver|jdbc\:hive\://clustername\:10000/default|
7=Generic Azure SQL|com.microsoft.sqlserver.jdbc.SQLServerDriver|jdbc\:sqlserver\://name.database.windows.net\:1433|
8=Generic Firebird Server|org.firebirdsql.jdbc.FBDriver|jdbc\:firebirdsql\:localhost\:c\:/temp/firebird/test|sysdba
9=Generic SQLite|org.sqlite.JDBC|jdbc\:sqlite\:test|sa
20=Generic H2 (Server)|org.h2.Driver|jdbc\:h2\:tcp\://localhost/~/test|sa
수정 후 h2.sh 를 다시 실행해주면 우리가 알던 그모습으로 돌아온다.
test.mv.db 와 동일경로에 .h2.server.properties파일이 생성된다는 힌트는 아래 블로그에서 확인하여 찾을 수 있었다.
https://shanepark.tistory.com/335
프로퍼티스 전문은 아래 블로그에서 얻을 수 있었다
https://bobr2.tistory.com/entry/%EB%A7%A5%EB%B6%81-H2-Database-%EC%84%A4%EC%B9%98
'Study >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H2] h2 database 설치 및 실행하기 (1) | 2023.05.31 |
---|---|
[MSSQL] Table 복사 (0) | 2018.08.10 |
[MSSQL] IDENTITY_INSERT (0) | 2015.07.09 |
[MSSQL] CHARINDEX (IndexOf, LastIndexOf가 필요할때) (0) | 2015.06.29 |
[MSSQL] MSSQL 날짜 변환표(GETDATE, CONVERT) (1) | 2015.05.13 |